용적률 혜택으로 분담금 1억 줄이는 방법
오랜 기간 멈춰있던 서울의 재건축 시계가 다시 빠르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서울시가 발표한 '준공업지역 용적률 완화' 정책은 재건축 시장의 판도를 바꿀 만한 파격적인 변화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규제 완화를 넘어, 재건축 사업의 가장 큰 걸림돌인 '분담금'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재건축 규제 완화의 핵심인 용적률 상향 정책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이로 인해 분담금이 어떻게 줄어드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완벽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서울의 노후 주택을 소유하고 있거나, 재건축 투자를 고민하고 있다면 이 글을 놓치지 마세요.
규제 완화가 가져온 분담금 혁명
1. 재건축의 핵심 용어: '용적률'과 '분담금'의 관계
먼저, 재건축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용어를 쉽게 이해해야 합니다.
- 용적률: 건축 가능한 연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좁은 대지에 더 높고 넓은 건물을 지을 수 있습니다.
- 분담금: 기존 주택 소유자가 재건축 후 새 아파트를 받기 위해 추가로 내야 하는 비용입니다.
재건축 사업은 용적률을 최대한 높여 아파트를 많이 지어야 일반 분양 세대 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일반 분양으로 생긴 수익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조합원의 분담금은 줄어들게 됩니다. 즉, 용적률이 높을수록 분담금은 낮아집니다.
2. 용적률 343%의 기적: 도봉구 삼환도봉아파트 사례
서울시가 준공업지역 용적률 완화 정책의 첫 수혜 단지로 도봉구 삼환도봉아파트를 지정했습니다. 이 단지는 기존 용적률 244%에서 343%까지 상향 혜택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 분담금 감소: 원래 예상 분담금은 2억 5,000만 원이었지만, 용적률 상향으로 분담금이 8,000만 원 수준까지 낮아져 1억 7,000만 원가량 줄어들었습니다.
- 사업성 개선: 용적률이 늘어난 만큼 일반 분양 물량이 확대되면서 사업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재건축 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여주는 가장 큰 요인입니다.
이처럼 용적률 완화는 단순한 규제 완화를 넘어, 조합원의 실질적인 경제적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3. 우리 집도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그렇다면 서울의 모든 노후 아파트가 용적률 완화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현재까지는 '준공업지역' 내 노후 주택이 주된 수혜 대상입니다. 서울시 내 준공업지역은 주로 영등포, 구로, 금천, 성동, 도봉구 등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시의 재건축 활성화 기조가 이어지는 만큼,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를 활용하면 다른 지역의 노후 아파트도 용적률 상향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공기여(공원, 공공청사 기부 등)를 통해 용적률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 꿀팁: 우리 집 용적률 확인하는 법! 정부24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건축물대장'을 발급받으면 해당 건물의 용적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건축, 이제 '가능성'이 아닌 '현실'이 되다
서울시의 재건축 규제 완화 정책은 그동안 답보 상태였던 재건축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특히 용적률 상향을 통한 분담금 절감은 노후 아파트 소유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