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안 만들면 손해? 청년이라면 알아야 할 정보들 

"월 70만 원씩 5년을 넣었을 뿐인데, 통장에 5,000만 원이 찍힌다?"

마치 꿈같은 이야기 같지만, '청년도약계좌'를 통하면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저축액 + 정부지원금 + 은행 이자 + 비과세 혜택'을 모두 더해주는 파격적인 정책금융상품입니다.


조건만 맞는다면 일반 적금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수익률을 제공하기에, '안 만들면 손해'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을 A to Z까지 파헤쳐 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핵심 혜택

청년도약계좌의 강력함은 '3단 부스터' 혜택에서 나옵니다. 이 모든 혜택을 합치면 연 8~9%대 일반 적금에 가입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혜택 1. 정부가 매달 보너스를 준다! '정부기여금'
    내가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가 매달 현금을 얹어줍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으며, 월 최대 70만 원 납입 시 소득 구간별로 월 2.1만 원 ~ 3.3만 원까지 추가로 입금됩니다.

  • 혜택 2. 이자에 세금이 없다! '비과세 혜택'
    가장 큰 혜택 중 하나입니다. 5년 만기 후 받게 되는 모든 이자에 대해 세금(15.4%)을 단 한 푼도 내지 않습니다. 일반 적금이었다면 내야 할 수십만 원의 세금을 모두 내가 가져갈 수 있습니다.

  • 혜택 3. 은행 기본금리 + 우대금리
    시중은행의 5년 만기 적금 금리를 기본으로 제공하며, 각 은행별 우대 조건을 충족하면 추가 금리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나도 가입할 수 있을까?'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 1. 나이 조건: 만 19세 ~ 만 34세 이하
    병역을 이행했다면, 병역 기간(최대 6년)만큼 나이 계산에서 제외되어 만 34세를 넘어도 가입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예: 군 복무 2년 한 만 36세 → 만 34세로 인정)

  • ✅ 2. 개인 소득 조건: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단, 소득 구간별로 혜택에 차이가 있습니다.
    - 총급여 6,000만 원 이하: 정부기여금 + 비과세 혜택 모두 적용
    - 총급여 6,000만 원 초과 ~ 7,500만 원 이하: 비과세 혜택만 적용 (정부기여금 없음)

  • ✅ 3. 가구 소득 조건: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신청인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주민등록등본 기준)의 소득 합이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비교적 기준이 넉넉하여 대부분의 청년 가구가 해당됩니다.)

어떻게 신청할까? (신청 방법 및 시기)

  • 신청 시기: 매월 초 (약 1~2주간) 정해진 기간에만 신청을 받습니다. (자세한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매월 공지)

  • 신청 방법: 11개 시중은행 앱(App)을 통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등)

  • 진행 절차:
    ① 은행 앱에서 가입 신청 → ② (약 2주간) 서민금융진흥원 요건 심사 → ③ 심사 통과 알림 수신 → ④ (다음 달 초) 계좌 개설 완료

5년의 인내, 5천만 원의 보상

청년도약계좌는 '5년'이라는 만기가 다소 길게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비과세 혜택을 일부 적용해주고, 생애최초 주택 구입 등 특정 사유 발생 시에는 불이익 없이 해지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었습니다.

조건이 되는 청년이라면, 5년 뒤의 '내 집 마련', '결혼 자금', '창업 자금' 등 인생의 중요한 순간을 위한 가장 확실한 디딤돌이 될 수 있습니다. 망설이지 말고 지금 바로 가입을 준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