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틱톡, 아프리카TV, 인스타그램 등 1인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업자등록을 하려 할 때, 가장 많이 하는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업종코드 선택이죠.
국세청 기준에 맞춰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업종코드와 상황별 선택 방법을 정보로 정리해 드릴게요.
1인 미디어 창작자 업종코드 한눈에 보기
1인 미디어 창작자는 혼자 활동하는지, 장비와 인력을 활용하는지에 따라 면세사업자와 과세사업자로 나뉩니다.
| 상황 | 업종코드 | 부가세 | 특징 |
|---|---|---|---|
| 혼자서, 장비나 스튜디오 없이 콘텐츠 제작 | 940306 | 면세 | 부가세 신고 없음, 절차 간편 |
| 장비·스튜디오 보유 또는 인력 고용 | 921505 | 과세 | 매입세액 공제, 해외 수익 영세율 적용 |
① 940306 – 면세사업자
- 대상: 혼자서 촬영·편집·업로드까지 처리하는 1인 창작자. 고가 장비나 직원이 없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 장점: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가 없어 관리가 간단합니다. 종합소득세만 신고하면 됩니다.
- 예시: 유튜브에 개인 브이로그 업로드, 틱톡 숏폼 영상 제작, 아프리카TV 1인 방송 진행 등이 있습니다.
② 921505 – 과세사업자
- 대상: 스튜디오나 촬영 장비를 보유한 경우. 편집자, 촬영 스태프 등 인력을 고용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 장점: 장비 구매나 프로그램 비용에 대한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 광고 수익에 대해 영세율(부가세 0%) 적용이 가능합니다.
- 예시: 광고 제작이나 협찬 콘텐츠가 많은 유튜버, 팀 단위로 콘텐츠 제작을 운영하는 회사형 채널 등이 있습니다.
어떤 업종코드를 선택해야 유리할까?
본인의 상황에 따라 업종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상황 | 추천 업종코드 | 이유 |
|---|---|---|
| 콘텐츠 제작을 이제 시작한 초보 크리에이터 | 940306 (면세) | 부가세 신고 필요 없어 간단하고 관리가 쉽습니다. |
| 스튜디오나 장비 투자 계획이 있는 크리에이터 | 921505 (과세) | 장비 구매 비용에 대한 매입세액 공제, 해외 수익 영세율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TIP: 초기에는 940306으로 간단히 시작하고, 사업 규모가 커지면 921505로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부업종 등록도 함께 고려하기
유튜브·틱톡·아프리카TV 활동 외에도 다른 수익이 있다면 부업종 등록을 추가로 할 수 있습니다.
| 부업종 | 업종코드 | 설명 |
|---|---|---|
| 광고대행업 | 743002 | 브랜드 협찬, 광고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
| 온라인 정보 제공업 | 724000 | 유료 강의, 교육 자료 판매 등을 할 경우 |
| SNS 마켓업 | 525104 | SNS를 통해 상품을 판매할 경우 |
사업자등록 절차 간단 정리
-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 업종 선택: 940306 또는 921505
- 증빙 서류 제출 후 사업자등록증 발급
- 필요 시 통신판매업 신고 (온라인 판매 병행 시)
현명한 선택으로 절세 효과를 누리세요
2025년 기준, 1인 미디어 창작자 업종코드는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940306(면세)은 혼자 시작하는 초보 크리에이터에게, 921505(과세)는 스튜디오·장비·인력 투자가 있는 전문 창작자에게 유리합니다. 처음 사업자등록을 할 때는 세무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상황에 맞는 전략으로 더 효율적인 세금 관리와 절세 효과를 누려보세요!

0 댓글